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일찍이 소아기에 나타나기도 하지만 대부분 청년기에 나타납니다.
또한 시력교정 수술 후 비정상적으로 얇아진 각막이 눈 속의 압력을 견디지 못할 경우
각막의 중앙 혹은 중앙 아래 부위가 볼록하게 튀어나오게 되는데(각막확장증),
수술 후 안전한 잔여각막 두께를 남기지 못했거나 각막 강성도가 약할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각막이 중앙보다 약간 아래쪽을 정점으로 하여 원뿔형으로 솟아 오름
- 부정 난시 및 시력 저하
- 각막 내부 혼탁
- 각막의 원추기저부에 담갈색의 플레이셔라는 색소륜 발생
- 눈이 부시고 눈물이 나옴
- 안구건조 증상 심화
- 통증 등의 자각증세 없음
※ 위 같은 증상이 지속되어 심화되면 각막 백반이 일어나 실명하게 됩니다.


1. Keratoconus : 원추각막
정상 각막에서 충혈이나 각막세포침윤과 같은 염증성
원인이 아닌 비염증성 원인에 의해 변형이 발생되어
각막이 비정상적으로 얇아지면서 돌출되어 그로 인해
부정난시가 발생하는 진행성 질환입니다. 두께가 감소한
부위의 각막은 돌출되며 마치 종 모양과 유사하여
원추각막이라고 합니다.

2. PMD Keratotorus : 각막돌출
(Pellucid Marginal Degeneration)
PMD Keratotorus는 종종 원추각막(Keratoconus)과
혼동되는 퇴행성 각막 상태 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한 쪽
눈에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각막의 하부 및 주변
투명한 영역에서 확장이 일어나는 것이 특징이며 원인은
불명입니다.

3. Keratoglobus : 구상각막
Keratoglobus는 일명 공모양 각막으로 각막이
점진적으로 얇은 구형으로 변형되는 퇴행성 비염증성
질환입니다. 주로 여백 각막이 얇아 발생합니다.
SCI(Science Citation Index)
과학기술논문 인용색인(SCI)란, 미국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가 구축한 국제학술논문 데이터베이스로, 매년 학술적 기여도가 높은 학술지를 엄선하고, 학술지에 수록된 논문의 색인 및 인용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더 안전하고 좋은 수술을 만들기 위해, 꾸준한 학술활동과 임상연구에 힘쓰겠습니다.
